리스트
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들을 1차원 배열에 저장하고 다룰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
ds <- c(90, 85, 70, 84)
my.info <- list(name='Tom', age=60, status=TRUE, score=ds)
my.info # 리스트에 저장된 내용을 모두 출력
my.info[[1]] # 리스트의 첫 번째 값을 출력
my.info$name # 리스트에서 값의 이름이 name인 값을 출력
my.info[[4]] # 리스트의 네 번째 값을 출력
팩터
- 문자형 데이터가 저장된 벡터의 일종
- 예를들어 성별, 혈액형, 선호 정당 등과같이 저장할 문자값들이 몇 종류로 정해져 있을 때 팩터를 사용
bt <- c('A', 'B', 'B', 'O', 'AB', 'A’) # 문자형 벡터 bt 정의
bt.new <- factor(bt) # 팩터 bt.new 정의
bt # 벡터 bt의 내용 출력
bt.new # 팩터 bt.new의 내용 출력
bt[5] # 벡터 bt의 5번째 값 출력
bt.new[5] # 팩터 bt.new의 5번째 값 출력
levels(bt.new) # 팩터에 저장된 값의 종류를 출력
as.integer(bt.new) # 팩터의 문자값을 숫자로 바꾸어 출력
bt.new[7] <- 'B’ # 팩터 bt.new의 7번째에 'B' 저장
bt.new[8] <- 'C’ # 팩터 bt.new의 8번째에 'C' 저장
bt.new # 팩터 bt.new의 내용 출력
This post was written based on what I read and studied the book below.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