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 <- 10
b <- 20
c <- a+b
print(c)
cat()
변수의 개념
: 프로그램에서 어떤 값을 저장하는 저장소나 보관 박스
변수명 지정
1. 첫 글자는 영문자(알파벳), 일반적으로 영문자로 시작
ex. avg, .avg
ex. 12th는 숫자로 시작했기 때문에 변수명 사용 불가
2. 두 번쨰 글자부터는 영문자, 숫자, 마침표(.), 밑줄(_) 사용 가능
ex. v.1, a_sum, d10
ex. this-data, thi@data은 변수명 사용 불가 (@과 -같은 특수문자 사용 불가)
3.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분
ex. var_A 와 var_a는 서로 다른 변수
4. 변수명 중간에 빈칸을 넣을 수 없음
ex. first ds는 변수명 사용 불가
변수에 값 저장 및 확인
a <- 125
a
print(a)
변수의 자료형
자료형 | 사용 예 | 비고 |
숫자형 | 1, 2, 3, -4, 12.8 | 정수와 실수 모두 가능 |
문자형 | 'Tom', "Jane" |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묶어서 표현 |
논리형 | TRUE, FALSE | 반드시 따옴표가 없는 대문자로 표기하며, T나 F로 줄여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 |
특수값 | NULL | 정의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며, 자료형도 없고 길이도 0임 |
NA | 결측값 (missing value) | |
NnN | 수학적으로 정의가 불가능한 값 (ex. sqrt(-3) | |
Inf, -Inf | 양의 무한대(Inf), 음의 무한대(-Inf) |
변수의 값 변경
- 변수에 저장된 값은 언제라도 변경 가능
- 변수의 자료형은 어떤 값을 저장하는가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뀜
a <- 10 # a에 숫자 저장
b <- 20
a+b # a+b의 결과 출력
a <- "A" # a에 문자 저장
a+b # a+b의 결과 출력. 에러 발생
댓글